간호 행정업무 지원 AI 개발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5년간 63억원 지원
"현장 효율화 통한 환자 중심 의료 생태계조성"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이 간호사의 행정업무 부담 완화를 위해 팔을 걷는다. 의대 김휘영 교수(신경외과학)와 간호대 최모나 교수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바이오산업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초거대 AI기반 간호기록지 자동 생성 및 업무 자동화 기술 개발’을 수행하게 됐다. 국비지원금은 5년간 63억원에 달한다.환자의 생명이 오가는 진료, 진단, 치료 간호 과정에서 환자에 대한 정확한기록이 필수다. 기록을 담당하는 간호사는 입원병동, 외래진료 공간, 수술실등에서 환자 상태, 수술 전후 경과, 투약 내용 등 건강에 관한 모든 데이터를 세세하고 면밀하게 관리한다. 동시에 환자 응대, 투약 관리, 환자 교육 등직접적인 간호업무도 함께 수행해 업무 부담이 크다.
이번 국책과제 수행은 간호현장의기록업무 부담은 덜면서, 간호사가환자 간호에 더욱 집중할 수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을목표로 한다. 의료 현장의 간호기록 업무에서 나타나는어려움과 비효율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뒀다.연구팀이 개발하는 ‘간호기록 자동화 AI’는 간호기록을 자동으로 생성‧요약해 표준화하는솔루션이다. 의료 특화 초거대 언어모델(LLM)과 멀티모달 AI 기술을 결합해▲간호정보 조사지 ▲수술 간호 기록지 ▲투약 기록지 등 다양한 간호문서를 자동화한다. 이러한 AI 도입으로 의료 현장의 기록업무 부담이 줄어드는동시에, 의료진은 환자 간호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김휘영 교수는 “클라우드 기반의간호기록 자동화를 꾀하는 이번 솔루션 모델을 병원의 의무기록 시스템과 연동하고 다기관 시범 운영을 거쳐 글로벌 표준으로 확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모나 교수는 “임상과 건강 데이터를 전송하는 HL7(헬스 레벨 7) 등글로벌 표준과도 연동해 국제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향후 해외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