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건전공
환경문제 해결에 필요한 환경관리 전문인 양성
환경보건전공은 환경보건, 환경위해성평가, 환경건강영향평가, 화학물질 위해 관리를 중심으로 실제 연구와 이론이 연계된 교육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환경문제의 중요성과 관련 현상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환경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현황 및 발전 동향을 파악하며, 환경문제 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관련 분야와 교류 학습하는 능력을 향상함으로써 환경보건 및 관리 분야에서의 전문적 업무수행 능률을 올리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산업화, 도시화와 더불어 가중되고 있는 환경오염 문제를 올바로 인식하고 환경보건학적 방법으로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전공 학부생과 정부 및 환경산업계 관리자 등이 대상입니다. 우리는 국내외 환경오염 문제를 폭넓게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및 정책 방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환경관리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합니다.
소개
환경보건전공 소개
교수진
- 학과주임교수 : 원종욱
- 전공지도교수 : 임영욱
목적
환경보건전공은 환경보건, 환경위해성평가, 환경건강영향평가, 화학물질 위해 관리를 중심으로, 실제연구와 이론이 연계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환경문제의 중요성과 관련현상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환경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현황 및 발전 동향을 파악하며, 환경문제 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관련 분야와 교류 학습하는 능력을 향상함으로써 환경보건 및 관리 분야에서의 전문적 업무수행 능률을 올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산업화, 도시화와 더불어 가중되고 있는 환경오염문제를 올바로 인식하고 환경보건학적 방법으로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관련전공 학부생과 정부 및 환경산업계 관리자 등을 대상으로 국내・외 환경오염문제를 폭넓게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및 정책 방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환경관리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한다.
교과목
환경보건전공 교과목 안내
환경측정및분석 (Environmental Measurement & Analysis)
환경오염물질의 측정 및 분석은 환경 상태 파악에 필요한 기초 과정 수련을 위한 과목이다. 이 교과과정에서는 인체, 물, 대기, 토양, 식품 등 각 환경매체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화학물질, 미량 유기물질, 병원성 미생물 등 오염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기술에 필요한 이론과 측정 데이터의 정확도 및 높은 신뢰도를 표현하기 위한 Quality Assurance, 그리고 측정결과에 대한 통계처리 및 해석 등에 관하여 환경보건 및 보건학을 공부하는 대학원생들이 관련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환경독성학 (Environmental Toxicology)
환경독성학은 환경에 의해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일반적인 독성 및 물질의 인체 또는 표적장기 내의 흡수, 분포, 대사, 배출, 그리고 유해영향에 토의하고 대기, 수질, 토양 등 환경매체별 독성물질의 피해 경로에 대한 연구 및 환경유해물질에 대한 독성학적 정보를 주로 다룬다.
건강위해성평가 (Health Risk Assessment)
환경오염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다양한 인체 영향에 대해 정량적으로 예측하고자 하는 방법론으로서, 1990년대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환경보건분야의 핵심 연구 주제라 할 수 있다. 본 교과과정에서는 건강위해성평가 방법론에 대해 주요 4단계인 위험성 확인→용량・반응 평가→노출평가→위해도 결정에 대해 학습하고, 실제 우리나라 환경분야에서의 적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환경역학 (Environmental Epidemiology)
현재 환경오염은 자연생태계 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도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환경역학은 이러한 환경오염물질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위험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관련성 질환을 이해하고, 환경오염 물질의 건강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역학적 방법론의 개념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환경보건학 (Environmental Health)
인구집단에 질병을 일으키는 물리・화학・생물학적 요인을 찾아내고, 그 발병기전을 연구하며, 이러한 요인들이 우리의 생활공간인 대기, 물, 토양, 식품 및 작업장에서 노출되는 정도를 파악하고, 이로 인한 보건학적 영향과 그 대책에 관하여 논의한다.
환경보건평가 (Enviromental Health Assessment)
환경보건평가는 환경위해요인에 대하여 오염원으로부터 환경으로 방출된 유해물질로 인한 과거, 현재 및 미래의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그와 관련한 환경보건상의 규정 또는 기타 권고사항을 마련하며, 인체건강영향을 평가, 경감, 예방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조사 및 조치를 밝히기 위하여, 이와 관련한 자료 및 정보를 평가하는 과정으로 이에 대한 방법론과 적용방안을 습득한다.
화학물질위해관리 (Chemical Risk Management)
유해화학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관리 방안 구축 및 화학물질관리의 해외 동향에 따른 대책 마련과 배출된 환경오염물질의 노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과정평가나 건강영향평가와 같이 관리 우선순위(priority ranking)에 대한 의사 결정 또는 정책 결정(decision making or policy making)에 필요한 정보들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또한 GHS, REACH 등 실제 기업이나 정부 또는 학계에서 화학물질 위해관리에 이용되는 사례 분석을 통해 관리 체계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환경산업 관련법 이슈와 적용 (Principle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Act)
유해요소들의 환경/작업장 영향과 안전 및 보건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최근 국내 환경/산업 관련법들이 대대적으로 수정 보완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석과 법규에 대한 실무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관련 이론부터 실무 내용까지 전달하여 전문가적 역량을 습득하게 한다.
환경보건 논문 Ⅰ (Thesis of Environmental Health Ⅰ)
보건학 기초 과정을 마친 학생들이 개인 과제를 통해 그동안 습득한 지식을 실제 연구와 논문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주로 4학기 학생들이 각자 주제 선정, 자료 선정, 연구계획서 작성, 논문 작성을 진행한다.